728x90
반응형
한글 2018 프로그램 3강입니다
복습해 보겠습니다
① 스페이스바, 엔터, 백스페이스, 쉬프트
키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있어야 합니다
그 키들이 어떤 역할을 설명해 보세요
② 탭키, 캡스럭, 한/영키
키 위치와 역할을 설명해 보세요
③ 방향키가 어디 있는지 찾아보세요
딜리트키 위치와 역할을 설명해 보세요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한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
글을 작성했으면
저장해야 합니다
그리고 새로 문서를 만들어 또 작성하고
작성한 것을 불러와서 이어서 작성해야 합니다
1) 새로 문서 만들기
: 새로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
파일 - 새문서 클릭
단축키는 Alt키를 누르고 N을 누르면 됩니다
창 제목 막대(맨 위의 가운데)와
문서 탭(하단 왼쪽) 이름표에
[빈 문서 2]와 같이 파일 이름이 표시됩니다.
2) 불러오기
: 작성한 문서를 볼러올 때 사용합니다
파일 - 불러오기 클릭
단축키는 Alt키를 누르고 O을 누르면 됩니다
3) 저장하기
: 문서를 저장할 떄 사용합니다
파일 - 저장하기 클릭
단축키는 Alt키를 누르고 S을 누르면 됩니다
서식도구모음에 새문서, 불러오기, 저장하기
아이콘이 있습니다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실습하기>
1> 문서에 애국가 1절을 입력합니다
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
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.
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
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
2> 파일 - 저장하기 클릭을 합니다
3> 아래 그림에서 스크롤바를 이용하여
왼쪽에 문서를 클릭합니다
그리고 새폴더를 클릭하여
한글2018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
4> 한글2018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
5> 만든 한글2018 폴더를 더블클릭합니다|
파일 이름에 애국가1절 입력합니다
저장을 클릭합니다
6> 아래 그림에서
상단 위에 애국가1절.hwp 와
하단에 애국가1절 글자를 확인해 보세요
확인 되었으면 저장이 잘 된겁니다
7> 오른쪽 상단에 X를 눌러 닫기를합니다
8> 파일 - 불러오기를 클릭합니다
9> 아래와 같이 왼쪽에 문서를 클릭하고
오른쪽에서 한글2018 폴더를 더블클릭합니다
10> 애국가1절 파일을 클릭하고 열기를 클릭하거나
애국가1절 파일을 더블클릭하여
불러오기를 합니다
핵심>
1) 새문서 만들기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
2) 저장하기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
3) 불러오기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
한가지 한글 파일을 저장하면
애국가1절.hwp 라고 저장이 됩니다
.다음에 hwp는 확장자라고 하며
이 파일은 한글 파일 이라는 것을 가리킵니다
한글 파일의 확장자 hwp 입니다
이것도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
♥ 아래 문장을 직접 입력하고 애국가2절이라고 저장해보세요
남산 위에 저 소나무, 철갑을 두른 듯
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.
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
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
728x90
반응형
'한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글2018-6강]글자겹치기 (0) | 2020.04.09 |
---|---|
[한글2018-5강]특수문자 입력하기 (0) | 2020.04.08 |
[한글2018-4강]한자 바꾸기 (0) | 2020.04.06 |
[한글2018-2강]글 입력하기(키보드 키 익히기) (0) | 2020.04.04 |
[한글2018-1강]화면구성 설명(쪽윤곽/폭맞춤/화면확대,축소) (0) | 2020.04.03 |
댓글